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10월 1일(화)부터 배우자 출산휴가를 유급 3일에서 10일로 확대하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기간을 최대 2년까지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지난 8월 2일 국회를 통과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과
「고용보험법」 개정에 따른 것입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및 급여 지급
현행 3~5일(최초 3일 유급)이던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이
10월 1일부터 유급 10일로 확대됩니다.
또한 휴가 청구기한이 출산일로부터 30일에서 90일로 늘어나고
휴가 기간이 확대된 만큼 1회에 한하여 분할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한편 유급 휴가기간 확대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우선지원 대상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정부가 유급 5일분을 지원하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가 신설됩니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현재도 10일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유급휴가 기간인 3일 전후로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중소기업 노동자도
부담 없이 10일간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및 급여 지급은 10월 1일 이후 최초로 휴가를 사용하는 노동자부터 적용됩니다.
따라서 9월 30일 이전에 청구기한(현행법상 출산일로부터 30일)이 경과되었거나
기존에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한 노동자는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그간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노동자는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모두 포함하여 최대 1년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10월 1일부터는 육아휴직 1년과 별도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1년간 보장하며,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은 추가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만 사용할 경우
최대 2년까지 가능하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최소 3개월 단위로 횟수의 제한 없이 분할 사용이 가능합니다.
한편 ‘임금 삭감 없는 하루 1시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실현됩니다.
현재는 1일 2~5시간까지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하나
앞으로는 하루 1시간 단축도 허용되며
1시간 단축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는 우선지원 대상기업과 대기업 소속 노동자 모두에게 지급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는 10월 1일 이후 사용(분할 사용 포함)하는 노동자부터 적용하며,
9월 30일 이전에 기존 사용 기간(1년)을 모두 사용한 노동자는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그간 모성보호 및 일·생활 균형 제도 개선 내용과 주요 성과
최근 초저출산 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저출산대책(2018.7.5, 저출산위·관계부처 합동)> 등을 발표하고,
출산·육아기 노동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임신·출산기 여성 노동자의 모성 및 태아 보호를 위한 지원제도를 강화하기 위해
출산전후휴가 급여의 상한액을 인상하고,
2019년 7월부터 고용보험 미적용자에게도 출산급여를 지급했습니다.
육아기 노동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육아휴직 급여를 인상하였고,
맞돌봄 문화 조성을 위해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유인책(인센티브)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제도적 노력과 사회적 인식 변화에 힘입어
2019년 8월 기준 육아휴직자 수는 71,925명으로 2017년 8월 59,791명에 비해 약 20% 증가했습니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016년 7,616명에서 2018년 17,662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런 추세로 간다면 올 연말에는 2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2019년 8월 기준 14,988명)
이밖에도 소득 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고용보험의 ‘출산전후휴가 급여’를 받지 못했던 여성*에게 2019년 7월 1일부터
총 150만 원(50만원×3월분)의 출산 급여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2일 이후에 출산한 여성이 적용 대상으로 출산일부터 바로 신청 가능합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 급여 등은
고용보험 누리집(www.ei.go.kr)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를 이용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임서정 차관은 “최근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있었지만
여전히 여성의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남성의 육아 참여를 보다 활성화시켜
사회 전반에 맞돌봄 문화를 보다 보편적으로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습니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31번째 코로나 확진자 이동경로!! 동선!! 대구 새로난한방병원, C클럽,신천지 (0) | 2020.02.18 |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기억합니다... (0) | 2020.02.18 |
[코로나19]부산의료원 응급실 긴급 폐쇄 (0) | 2020.02.17 |
[포토샵 따라하기#1] 점선 그리기 무작정 따라하기 (0) | 2019.10.01 |
[정보] PDF 용량줄이기 사이트 (0) | 2019.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