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탑 보급수 보급수량 계산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건물일 경우에는 냉방시설을 위해 냉동기와 냉각탑이 설치됩니다. 이번에는 이 냉각탑의 보급수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보급수는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냉각탑에서 냉각수의 열을 식히는 과정에서 증발과 비산 등의 과정이 일어나게 되고, 이렇게 손실된 냉각수를 보충해주는 냉각수를 말합니다. 그렇기에 시간당 얼마의 냉각수가 유실되는 지를 알고 그 만큼의 물을 물탱크용량에 추가로 적용해 줍니다. 1. 냉각탑 보급수량 계산 보급수량 = 증발량(We) + 비산량(Wd) + 배수량(Wb) 계산조건 온도 : 입구 37℃ -> 출구 32℃ / 27℃ (증발잠열:630kcal/kg) 비산율 : 0.002%, 농축수량 : 5 냉각수 순환유량 순환유량 ㎥/h ※ 순환유량값은 냉각탑 장비일람표 또는 냉각탑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