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 저온수 흡수식 냉동기 특기시방서

반응형

관련글

2022.09.13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의 원리 및 특성 종류 등

2022.08.27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 보급수 보급수량 계산

2022.08.19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동기의 원리와 구조 | 냉동사이클 이해

2022.08.18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 냉각수 레지오넬라균 살균 여과처리


특기시방서

 

1. 적용범위

 

이 제작시방서는 지역단위 열공급자가 공급하는 지역난방용 온수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120℃이하의 온수에 의해 구동되는 저온수2단 흡수냉동기(이하에서는 흡수냉동기라고

칭한다)에 대해 적용한다.

 

2. 설계기준

 

흡수냉동기의 설계기준은 유첨의 사양서(Specification data sheet)에 따른다.

 

3. 제작시방

 

3.1 제작에 대한 일반적 기준

 

1) 고효율 저온수2단 흡수냉동기는 지역난방용 온수에 의해 구동되는 흡수냉동기로서 한국지역

난방공사, 또는 지역단위 열공급자가 발행한 열사용시설기준에 적합하게 설계 · 제작되어야

한다.

 

2) 고효율 저온수2단 흡수냉동기는 고효율 기술을 적용하여 100% 부하 운전시에 성적계수

(COP) 0.XX 이상 및 통합성적계수(IPLV)0.XX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들 고효율 기술로

① 증발기와 흡수기의 배열 상단과 중간에 각각 Tray를 가지는 2단 Tray구조를 적용한다.

② 또한 흡수액으로부터 냉매(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중온수가 흐르는 제1재생기와

보조재생기 관표면에서 흡수액으로부터 가열되어 비등하는 수증기가 냉각수가 흐르는

응축기 관표면에 응축하여 냉매가 생성되는데, 재생기 관표면 온도와 응축기 관표면 온도의

차이 분포를 최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들 응축기, 제1재생기, 보조재생기를 구성하는

동체는 중온수입구(고온)와 냉각수출구(고온), 중온수출구(저온)와 냉각수입구(저온)가

대응하는 2개의 구획된 동체구조(고압부와 저압부)를 갖도록 한다.

 

3.2 적용되는 규격

-KS B 6271-2012 흡수식 냉동기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발행)

-지역냉방 흡수식냉동기 기술규격서 (2016년 6월 한국지역난방공사 발행)

 

3.3 공급 및 작업범위

 

1) 공급범위 : 흡수냉동기의 납품 및 설치(설계와 제작, 반입설치, 시운전, 보온보냉작업을

포함한다.)

① 기계실에 반입설치라 함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제작된 흡수냉동기를 현장으로 운송하고 기계실로 반입한다. 단, 흡수냉동기의 하역과 반입에

   필요한 반입구가 확보가 되어 있지 않거나, 반입통로상의 건물 활하중

지지능력이 냉동기의 반입중량에 미달될 때 그를 위한 작업은 공사범위 외이다.

- 기계실의 흡수냉동기 기초(pad) 위에 설치하고, 수평작업을 수행한다.

② 시운전이라 함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흡수냉동기와 연결되는 냉수, 냉각수, 중온수 배관작업과 기기들의 배선작업 및 필요한

확인 작업이 완료된 후 시행한다.

- 흡수냉동기의 정상적인 운전을 위해 필요한 내부 조정작업 및 운전자에 대한 교육이

포함된다.

③ 보온보냉 작업이라 함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흡수냉동기의 시운전을 완료한 다음에 시행한다.

- 흡수냉동기의 보온보냉 부위는 아래와 같다.

보온부 : 19mm - 재생기의 동체와 워터박스, 판형열교환기

9mm - 보온부의 입출구 배관

보냉부 : 19mm - 증발기 동체와 워터박스

9mm - 냉매펌프의 입출구 배관

④ 성능시험 : 계약 시 별도 시험비용의 지불과 시험방법의 상호 합의에 의해 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성능시험은 공장 내 성능시험 또는 설치 현장에서의 현장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2) 공급제외 범위

① 기계실에 시공되는 흡수냉동기의 기초.

② 흡수냉동기의 납품 및 설치 후 현장에서의 흡수냉동기의 관리

③ 현장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배선공사, 즉 흡수냉동기로 연결되는 전원배선공사와

냉동기로부터 중앙감시반이나 배관 중 전기부품(TCV 제어선, 펌프의 인터록공사 등)에

연결되는 제어배선 공사

④ 흡수냉동기에 연결되는 냉수, 냉각수, 온수, 드레인 등의 배관공사.

(TCV와 액츄에이터는 공급하나 그 설치는 공사범위 외임)

⑤ 현장 시운전 또는 현장성능시험에 소요되는 열, 용수 및 전력비용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부착되는 각종 계측기류.

⑥ 기타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

 

3.4 흡수냉동기의 구성

 

1) 열교환기는 다음의 11개로 구성된다.

① 증발기(Evaporator)

② 흡수기(Absorber)

③ 제1재생기(1st Generator)

④ 제2재생기(2nd Generator)

⑤ 보조재생기(Auxiliary Generator)

⑥ 보조흡수기(Auxiliary Absorber)

⑦ 응축기(Condenser)

⑧ 제1용액열교환기(1st Solution Heat Exchanger)

⑨ 제2용액열교환기(2nd Solution Heat Exchanger)

⑩ 보조용액열교환기(Aux. Solution Heat Exchanger)

 

2) 냉매와 흡수액의 순환, 불응축 가스의 추기를 위해 다음과 같은 펌프가 설치된다.

① 냉매 펌프(Refrigerant Pump) 1개

② 희액 펌프(Diluted Solution Pump) 1개

③ 중간액 펌프(Intermediate Solution Pump) 1개

④ 농액 펌프(Concentrated Solution Pump) 1개

⑤ 보조 희액 펌프(Auxiliary Diluted Solution Pump) 1개

⑥ 추기펌프(Purge Pump) 1개

 

3) 제어관련 부위

① 제어 판넬(Control Panel)

② 흡수냉동기 자체 감지용 온도센서와 상호 연결하는 배선

③ 냉수의 단수를 확인하는 차압스위치

 

4) 기타 배관류

① 각 구성 열교환기를 상호 연결하는 흡수액과 냉매의 순환배관, 냉수·냉각수·온수의 연결배관

② 내부에서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밖으로 추출하는 추기장치와 그의 구성 배관

 

3.5 구조와 기능

 

1) 증발기(Evaporator)

① Shell & Tube형으로 흡수기와 같은 저온동(Low Temperature shell)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키고, 전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증발기 상부에는 Distributor와 Tray를, 전열관 세로 배열의 중간부에도 Tray를

설치하여 냉매가 전열관에 고루 분포되고 전열관의 1단부터 마지막 단까지 냉매로

충분히 적셔지도록 하여(2단 Tray 구조)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한다.

⑤ 증발기는 수평격벽을 이용해 2단으로 분리시켜 냉수출구 부분의 증발기 압력을 낮춰

증발효과를 증가시켜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2단 분리 열교환 방식으로 효율이

증대된 구조로 제작한다.

⑥ 냉매액적이 흡수기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STS재질의 Eliminator를 설치한다.

⑦ 냉매의 오염 시 증발기의 오염된 냉매를 흡수기로 보낼 수 있도록 Blow Down 밸브와

배관을 설치한다.

⑧ 냉수의 동결에 의한 전열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냉수의 입구와 출구 간에는 냉수흐름

감지용 차압(또는 플로우) 스위치를 부착한다.

⑨ 증발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냉매의 증발온도가 1℃이하로

낮아지면 흡수냉동기를 정지하도록 한다.

⑩ 증발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Sight Glass)을 설치한다.

 

2) 흡수기(Absorber)

① Shell & Tube형으로 저온동의 증발기와 같은 동체 내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키도록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흡수기 상부에 Distributor와 Tray를 설치하고, 전열관 세로 배열 중간부에도 Tray를

설치하여, 흡수액이 전열관에 고루 분포되고, 전열관 1단부터 마지막 단까지 흡수액이

충분히 적셔지도록 하여(2단 Tray 구조)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한다.

⑤ 흡수기는 수평격벽을 이용해 2단으로 분리시켜 냉각수 출구 부분의 흡수기 압력을 낮춰

흡수효과를 증가시켜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2단 분리 열교환 방식으로 효율이

증대된 구조로 제작한다.

⑥ 흡수액의 충전량과 흡수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Sight Glass)을

설치한다

 

3) 제1재생기(1st Generator)

① Shell & Tube형 열교환기로, 하동의 상부에 있는 고온동(High Tempera- ture Shell)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흡수액의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키고, 전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제1재생기는 격벽으로 저압부와 고압부로 구분하여 구획지으며, 고압부의 전열관을 지나

온도가 낮아진 온수가 저압부의 전열관으로 들어간다.

⑤ 재생기 전열관 주위의 흡수액으로부터 냉매증기의 발생 시 흡수액적이 응축기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재생기와 응축기 사이에 STS재질의 Eliminator를

설치한다.

 

4) 제2재생기(2nd Generator)

① Shell & Tube형으로 하동의 측면에 위치한 보조동(Auxiliary Shell)에 있으며, 같은

동체(Shell) 내의 보조흡수기 상부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흡수액의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키고, 전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제2재생기 상부에 Distributor와 Tray(STS재질)를 설치하여, 흡수액이 전열관에 고루

분포되어 고효율의 열교환을 하도록 한다.

⑤ 제2재생기에서 흡수액이 적하될 때, 흡수액이 보조흡수기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재생기와 보조흡수기 사이에 STS재질의 Eliminator를 설치한다.

 

5) 보조재생기(Auxiliary Generator)

① Shell & Tube형으로 제1재생기와 같은 고온동(High Temperature Shell) 내에 위치하며,

흡수액 펌프가 아닌 중력에 의해 흡수액이 보조 흡수기 (Auxiliary Absorber)로 회수될

수 있도록 보조흡수기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전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

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보조재생기에서 보조 희액을 낮은 온수 온도에서 비등시키도록 제1재생기의 하부에

위치시켜 동체의 저압부에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6) 보조 흡수기(Auxiliary Absorber)

① Shell & Tube형으로 보조동(Auxiliary Shell)의 제2재생기(2nd Generator)와 같은 동체

(Shell) 내에서 하부에 위치한다.

② 전열관은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수 가공관을 사용하며, 인발가공

후에 잔류응력제거 열처리를 해야 한다.

③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에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④ 흡수기 상부에 Distributor와 Tray(STS재질)를 설치하여, 흡수액이 전열관에 고루 분포

되어 고효율의 열교환을 하도록 한다.

⑤ 흡수액의 충전량과 보조흡수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 (Sight Glass)을

설치한다.

 

7) 응축기(Condenser)

① Shell & Tube형으로 고온동(High Temperature Shell)의 동체 내에 위치하여 제1재생기와

보조재생기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가 응축되도록 한다.

② 전열관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관판과 기계식 확관에 의해 결합한다.

③ 응축기는 격벽으로 저압부와 고압부로 구분하여 구획지으며, 저압부의 전열관을 지나

온도가 올라간 냉각수가 고압부의 전열관으로 들어간다.

④ 응축된 냉매는 차압과 중력에 의해서 압력손실이 최소로 설계된 배관을 통해서 직접

증발기 내로 흐르도록 한다

 

8) 제1용액열교환기(1st Solution Heat Exchanger)

① 제1재생기로부터의 중간액과 제2용액열교환기로부터의 묽은 용액을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고효율의 판형(Plate Type) 열교환기를 적용한다.

② Heat Plate는 STS재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9) 제2용액열교환기(2nd Solution Heat Exchanger)

① 제2재생기로부터의 농액과 흡수열열교환기로부터의 묽은 용액을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고효율의 판형(Plate Type) 열교환기를 적용한다.

② Heat Plate는 STS재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10) 보조용액열교환기(Aux. Solution Heat Exchanger)

① 보조재생기로부터의 농액과 보조흡수기로부터의 묽은 용액을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고효율의 판형(Plate Type) 열교환기를 적용한다.

② Heat Plate는 STS재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11) 추기장치(Purge System)

① 추기장치에는 흡수기에서 불응축 가스를 흡입하여 추기탱크로 보내 주는 이젝터형

추기장치, 저실추기와 본체추기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3개의 다이야프램밸브, 상동과

보조동을 직접 추기할 수 있는 별도의 다이야프램 밸브 2개와 추기펌프의 진공도달압력,

흡수기압력, 추기탱크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진공마노메타(진공압력계), 탄소베인을

사용하여 수분이 포함된 오일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추기펌프, 약 1개월 정도의

불응축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추기탱크 등으로 구성된다.

② 추기펌프에는 가스 발라스트(Gas Ballast)가 내장되어 있어 추기 중 혼입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추기배관에는 추기펌프의 운전 중 예상하지 못한 정지 시에도 추기펌프 오일이 본체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밸브(Check Valve)를 설치하여야 한다.

 

12) 용액펌프(Solution Pump)와 냉매펌프(Refrigerant Pump)

① 저온수2단 흡수냉동기에 사용하는 용액펌프와 냉매펌프는 진공누설의 염려가 없는

밀폐형 펌프(Canned Motor Pump)를 사용한다.

② 보조재생기에서 보조흡수기로 회수되는 흡수액의 흐름(보조사이클의 농액라인)을 위한

용액펌프는 사용하지 아니한다.

 

13) 흡수냉동기 구성부품의 재질과 사양

① 흡수냉동기는 흡수제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상온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몰리브덴계 부식억제제(Li2MoO4)가 첨가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LiBr.55wt%)을 사용한다

② 사용되는 철판은 KS D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275 또는 동등 이상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③ 흡수액과 냉매계통에 사용하는 배관용 파이프는 부식에 의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KS

D 3562의 SPPS38(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④ 냉수와 냉각수계통의 플랜지용 가스켓이나 팩킹은 네오프랜(CR)고무를, 온수계통에는

120℃ 온도와 16 kg/cm2G 수압에도 견딜 수 있는 가스켓을 사용해야 한다.

⑤ 보온보냉제로서는 난연성 고무발포재 혹은 동등이상의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제작 전

보온도를 제시해야 한다.

⑥ 점검창(Sight Glass)에 사용되는 유리는 열처리된 강화유리이어야 한다.

 

3.6 자동제어반(Control Panel)

 

1) 자동제어

① PLC Controller을 적용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흡수냉동기를 제어하여 편리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② 흡수냉동기의 운전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각종 제어값을 설정할 수 있는 표시창

(터치스크린)을 설치한다.

③ 다음의 사항은 제어판넬과 표시창에 표시되어 운전자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흡수냉동기 및 펌프 등의 운전상태/정지 표시

- 냉수 흐름 상태표시

- 알람(냉동기이상)발생 시 이상내역 표시

④ 부분부하운전 시 운전효율(COP)을 상승시키기 위해 보조사이클을 정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⑤ 다음과 같은 이상발생 시 운전자가 흡수냉동기의 이상을 인식하고, 조치하도록 경보를

발생하고, 이를 표시창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구동온수입구온도 고

- 제1재생기 흡수액 출구온도 고

- 냉수출구온도 저

- 증발기 냉매온도 저

- 냉각수 온도 저

- 냉수 흐름 이상

- 냉매 펌프 이상

- 주계통 펌프 이상

- 보조계통 펌프 이상

- 냉수출구 온도센서 이상

- 냉각수입구 온도센서 이상

- 증발기냉매 온도센서 이상

- 응축기냉매 온도센서 이상

- 구동온수입구 온도센서 이상

- 제1재생기흡수액 온도센서 이상

- 용액펌프 및 냉매펌프 MC 이상

 

2) 용량제어

흡수냉동기의 용량제어는 냉수출구온도에 따라 냉수출구온도 설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

그림과 같은 PID 방식으로 온수제어밸브(TCV)의 개도를 제어한다. 냉수출구온도가 상승할 때

온수제어밸브는 열리고, 냉수출구온도가 내려가면 온수제어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동작

하도록 한다. PID 제어에 필요한 P, I, D 값은 설정모드에서 설정한다.

냉동기 용량제어

 

3) 흡수냉동기의 제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한다.

① 각종 온도값을 쉽고 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② 각종 온도상태를 실시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편리하게 스케줄 운전을 할 수 있어야한다.

④ 최적화된 인공 지능형 제어 알고리즘을 갖추어야 한다.

⑤ PID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⑥ 성능개선에 따른 프로그램의 업데이트가 가능해야 한다.

⑦ 485통신 및 MODBUS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4) 안전장치

① 냉수동결방지 장치 : 아래와 같은 장치와 기능을 갖추어 냉수흐름의 정지 시 냉수동결로

인한 증발기 전열관 파열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 냉수펌프 인터록

- 냉수흐름 감시

- 냉수온도 저(설정온도 - 1.5℃)시 냉매펌프 정지

- 냉수출구온도 저 (3℃이하)

- 냉매증발온도 저 (1℃이하)

② 흡수액 결정방지 : 아래와 같은 장치와 기능을 갖추어 흡수액의 결정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제1재생기 출구 흡수액농도의 연산프로그램과 제1재생기 출구 흡수액 농도의 표시기능

- 제1재생기 출구 흡수액농도의 결정농도 초과 상승 시 온수제어밸브 닫힘 기능

- 재생기출구온도 이상 상승 시 온수제어밸브의 열림을 제한하는 기능

- 재생기출구온도 이상 상승 시 이상정지 기능

- 흡수액 Over Flow

- 냉매 Over Flow

- 냉각수펌프 인터록

- 냉각수온도의 이상 상승 시 온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운전로직을 갖추어야 한다.

- 구동온수온도의 이상 상승 시 과잉열량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어운전 로직을

갖추어야 한다.

- 이상 발생 시 온수제어밸브의 닫힘.

③ 펌프 MOTOR 보호장치 :Canned motor 구조인 용액펌프와 냉매펌프에는 과전류계전기와

별도로 모터코일 고온스위치가 부착되어야 한다.

- 용액펌프 과전류계전기(OCR)와 모터코일 고온스위치

- 냉매펌프 과전류계전기(OCR)와 모터코일 고온스위치

- 추기펌프 과전류계전기(OCR)

 

5) 제어판넬의 철제함

제어판넬의 철제함은 녹이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쇼트 브라스트나 인산염피막처리

등의 전처리을 해야 함)에 도면에서 지정한 도장이 행해져야 한다.

제어판넬의 부품베이스는 아연도금판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외부와

배선연결을 위해 뚫은 구멍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마개로 밀봉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3.7 배선, 도장, 보온보냉 등의 제작사양

 

1) 기기배선

제어판넬과 흡수냉동기의 각 부분에 부착되는 전기부품 또는 제어부품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기기배선은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몸체나 배관표면에서 약 50mm이상 떨어져야 한다. 이것은

뜨거운 표면에 의한 배선의 손상과 차가운 표면의 결로로부터 배선을 보호하고, 또한

보온보냉 시 배선이 보온보냉제 내부에 묻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보온보냉

보온보냉재는 KS M 6962 고무발포 1종 단열재 혹은 동등이상의 단열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냉각표면의 수분응결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보냉재를

부착해야 한다. 냉수워터박스와 온수워터박스의 보온 보냉은 워터박스의 분해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해야 한다. 증발기의 하부에 있는 냉매 펌프의 모터부위는 보냉하지 않는다.

보온보냉부위는 페인트의 균열을 고려하여 도장하지 않는다.

 

3) 표면처리와 도장

제어판넬과 흡수냉동기에 사용되는 강판과 강관은 모두 쇼트 브라스트(Shot Blast), 또는

인산염피막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해야 하며, 용접에 의한 조립완료 후에 하도와 상도가

칠해져야 한다.

제어판넬의 상도로는 회색으로 Munsell No. 5Y 7/1의 에폭시계 페인트 혹은 동등이상의

도료가, 흡수냉동기 본체의 경우는 파란색으로 Munsell No. 4.0PB 3.4 / 6.7의 친환경적인

수용성 에나멜 페인트 혹은 동등 이상의 도료가 사용되어야 한다.(제품 구분을 위하여

필요한 추가 색상은 별도의 지정이 없으면 회색 Munsell No. N5.0으로 한다)

 

3.8 시험과 검사

제작 중과 제작 후에 다음과 같은 검사와 시험을 거쳐야 하며, 시험과 검사의 결과는

성적서로 납품 시에 제출되어야 한다.

 

1) 재질검사

규격에 재질이 명시된 부품은 재질성적서가 확인되어야 한다.

 

2) 기밀시험

흡수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액계통은 Helium Leak Test를 해야 하며, 기밀도는 1×10-5

atm·cc/sec 이하이어야 한다.

 

3) 내압시험

냉수, 냉각수, 온수 등의 수계통은 수압시험(또는 상응하는 공압시험)을 하여 내압강도와

기밀을 확인해야 한다.

 

4) 전기적 내압시험과 절연시험

전기계통은 내압시험과 절연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5) 치수검사

외형도상에 표현된 주요 치수에 대해 치수 측정을 하여야 한다.

 

3.9 반입과 설치

내압시험 등 필요한 시험이 완료된 제품은 냉수, 냉각수, 온수 계통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동절기 전열관 동파사고를 방지하고, 설치 후 장기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해야

한다.

개방부위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되어야 한다.

기기 내부에는 질소를 0.3kg/cm2G까지 채워서 보관 중 만약의 누설 사고 시에도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운반 중 빗물이 유입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제어판넬의 상부는 비닐로 포장되어야

한다.

 

3.10 설치 현장에서 성능시험 시 지원

현장에 설치 및 배관, 배선작업이 완료된 흡수냉동기의 시운전 또는 성능시험을 할 때 공급자

는 흡수냉동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열원, 용수, 전력의 공급과 함께 일하는 날짜로

최소 2일 정도의 기술자 지원을 하여야 한다.

 

4. 하자보증

 

4.1 하자보증

사용자의 고의적 사고 또는 천재지변에 의한 사고를 제외하고는 본 물품의 제작, 설치

상의 하자에 대하여 시운전 완료 후 계약 시의 하자보증기간 내에 품질을 보증하여야 한다.

 

4.2 애프터서비스

납품 설치 후 흡수냉동기 운전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하자보증 기간 3년내에 본 설비의 부품과 제작상 결함에 대해서는 무상으로 수리한다.

 


관련글

2022.09.13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의 원리 및 특성 종류 등

2022.08.27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 보급수 보급수량 계산

2022.08.19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동기의 원리와 구조 | 냉동사이클 이해

2022.08.18 - [기계설비/냉동공조설비] - 냉각탑 냉각수 레지오넬라균 살균 여과처리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