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익형 송풍기는 시로코 팬이라고도 불리며 풍압 150mmAq 이하의 전압에서 다량의 공기 또는 가스를 취급하는데 가장 적합한 송풍기로서 공기의 유동상태가 매우 원활하며 불쾌한 소음, 진동이 절대로 없으며 운전이 극히 정숙하다. 1. 특징 저압의 송풍기용으로서 압력 10~100mmAq 정도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송풍기이다. - 타 원심식 송풍기와 비교하여 동일용량에 대한 크기가 가장 적으므로 설치 면적이 작아진다. - 동일풍압에 대해서 속도가 낮기때문에 소음이 적다. - 풍량변동에 대해서 풍압의 변화가 적으며 많은 공기구멍에서 급배기하고 있는 경우에 기존의 일부를 폐쇄하여도 다른 급배기구의 영향이 적다. 2. 용도 일반송풍용, 항냉통풍, 건추물 공장의 환기, 냉온방장치, 소형보일러의 송배풍, 기타 가스 공..
유압펌프 종류와 성능 유압펌프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1) 기어펌프 (gear pump) : 기어펌프는 케이싱 내에 상호 물림을 하고 있는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이의 홈에 들어온 기름을 토출 하게 됩니다. (2) 베인펌프 (vane pump) : 베인펌프는 케이싱(캠링) 내의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2개의 베인 사이에 들어온 기름을 토출 하게 됩니다. (3) 액시얼 피스톤 펌프 (axial piston pump) : 액셜 피스톤 펌프는 축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기름을 토출 시키게 됩니다. (4)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 (radial piston pump) :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펌프작용을 하게 합니다. ..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건물일 경우에는 냉방시설을 위해 냉동기와 냉각탑이 설치됩니다. 이번에는 이 냉각탑의 보급수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보급수는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냉각탑에서 냉각수의 열을 식히는 과정에서 증발과 비산 등의 과정이 일어나게 되고, 이렇게 손실된 냉각수를 보충해주는 냉각수를 말합니다. 그렇기에 시간당 얼마의 냉각수가 유실되는 지를 알고 그 만큼의 물을 물탱크용량에 추가로 적용해 줍니다. 1. 냉각탑 보급수량 계산 보급수량 = 증발량(We) + 비산량(Wd) + 배수량(Wb) 계산조건 온도 : 입구 37℃ -> 출구 32℃ / 27℃ (증발잠열:630kcal/kg) 비산율 : 0.002%, 농축수량 : 5 냉각수 순환유량 순환유량 ㎥/h ※ 순환유량값은 냉각탑 장비일람표 또는 냉각탑 사양..
송풍기 기종의 선정은 압력범위, 건물의 사용조건, 경제성과 각 기종의 특징 및 풍량범위 등을 검토 후 제일 적합한 기종을 선정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큰 목차로 송풍기의 종류와 선정 방법에 대한 요약을 설명하고, 각각의 송풍기들의 특징 및 세부사항으로 이어 나가려 합니다. 송풍기 기종의 선정 송풍기의 종류 및 주요 용도 여러 송풍기들의 풍량, 압력범위, 용도 등은 일반적으로 아래 표와 같습니다. 송풍기의 종류 풍량(CMM) 정압(mmAq) 주요용도 다익형 송풍기 (SIROCCO FAN) 40~5,000 10~150 저속DUCT 공조용 광산터널 등의 급배기용 건조로 또는 열풍로의 송풍용 익형 송풍기 (AIR FOIL FAN) 30~3,000 50~250 고속DUCT 공조용 공장 환기, 근생 주방배기..
몰리에르선도 : p-h선도라고도 하며 냉매의 상태를 나타내는 線圖로서수직축에 압력(P)를 수평축에 엔탈피(h)를 나타낸다. ① COMPRESSOR :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를 흡입하는 작용과 그 증기를 응축기의 포화압력까지 압력을 높여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즉 고온고압의 GAS를 만듬 (RPM: 3000~ 3600) ② CONDENSER : ㆍ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GAS를 받아들이고 응축시켜서 재액화 시킴 ㆍ즉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를 상온고압으로 응축액화함 ㆍ응축기의 냉각작용이 크면 응축기내의 온도가 낮아지고 응축압력도 낮아짐 ㆍ액화된 냉매는 보통 응축온도보다 더 낮은 과냉각액체가 되어 응축기에서 나옴 (응축기에서 제거하는 열량 = 압축기가 한 일량 + 증발기에서 냉매가 ..
1. 냉동기 및 냉각탑 (냉각수 및 냉.온수처리) Ⅰ.서 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냉각수의 처리기술은 높은 효율과 에너지 절약을 추구하였으며 최근에는 경제성과 환경보전을 함께 고려해야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는 냉각수의 각종 장해요인으로 지목되는 부식ㆍ스케일ㆍ슬라임 및 미생물 장해로부터 산업설비의 원활한 운전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설비의 수명연장과 유지비용의 절감 및 환경보전을 이룩하여 궁극적으로는 경쟁력 배양이라는 차원에서 냉각수 처리시스템을 검토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개방ㆍ밀폐순환식 냉각수계의 장해종류와 수처리 방법의 종류, 수처리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한 검토사항 및 새로운 여과시스템의 적용을 소개하고 자 한다. Ⅱ. 냉각수 계통의 오염물질 종류와 장해현상 산업설비에 의해 상승된..
1.1 기술동향 하.폐수에 함유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 화학. 생물학적 공정 등을 이용한 여러 가지 처리 공정이 개발되어 왔으며 처리효율과 처리비용 등을 최적화 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물리, 화학적인 제거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재 대부분이 생물학적 공정 내지 생물, 화학적인 공정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질소의 경우 산화제를 이용한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방법, 분압을 감소시켜 공기중으로 날려보내는 방법, 이온교환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은 2차 오염물질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과 최종처리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인 제거를 위한 화학적 방법은 인의 제거효율이 비교적 높으나 슬러지 발생량 증가와 처리비용 상..
유효흡입양정 [NPSH(Net Positive Suction Head)] 란? NPSH(유효흡입양정)란, 펌프 운전시 캐비테이션(Caviation : 공동현상) 발생없이 펌프를 안전하게 운전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NPSHavailable 과 NPSHrequired 값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NPSH단위는 미터(m) 및 피트(Feet) 길이 단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NPSHa > NPSHr x 1.3이 되도록 선정 해야합니다. ex) NPSHr값이 7m 이면 NPSHa값은 최소한 9m 이상이 되도록 펌프를 설치 수중펌프는 NPSHa값이 충분한 여유가 있고 수중펌프자체가 수중에 잠기어 운전되므로 NPSHr 값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1) NPSHavailabl..
토리첼리의 실험 1643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는 유리관과 수은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즉, 단면적1cm인 한쪽 끝이 막힌 길이 1m의 유리관 안에 수은을 가득 채운 다음, 수은이 담긴 그릇 안에 거꾸로 세우면, 유리관 안의 수은주는 그릇에 담겨 있는 수은의 표면으로부터 76cm의 높이를 항상 유지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유리관 위쪽에는 진공상태가 되는데 이를 "토리첼리 진공" 이라고 한다. 유리관 안의 수은주가 76cm가 되는 것은 수은주의 무게가 그릇에 담긴 수은의 표면에 작용하는 대기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 실험으로 대기압(1기압)은 높이 76cm의 수은주 무게와 같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진공의 측정 단위에 있어서도 기초적인 개념이 되고 있다..
스텐레스강은 철(Fe)에 상당량이 크롬(보통 12%이상)을 넣어서 녹이 잘 슬지 않도록 만들어진 강으로 여기에다 필요에 따라 탄소(C), 니켈(Ni),규소(Si), 망간(Mn), 모리브덴(Mo)등을 소량씩 포함하고 있는 복잡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 합금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스텐레스강은 철(F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도 보통강이 가지고 있지않는 여러가지 특성 즉 표면이 아름다운 점, 녹이 잘 슬지않는 점, 열에 견디기 좋은 점,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해 강한 점 등에서 볼 때 대단히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크롬 및 기타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기계적 성질, 열처리 특성 등에 현저한 변화가 있으며 또한 녹이 슬지 않는 정도에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근래에 와서 다양한 용도..
1. 송풍기의 종류 일반적으로 기체의 壓送을 하는 것을 송풍기라고 부른다. 송풍기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축류식과 원심식으로 대별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덕트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소웅기의 압력도 높아지게되므로 주로 원심식 송풍기가 많이 사용된다. 또 이들 송풍기의 날개는 400∼600회전/분 정도로 운전되며, 그 통풍압력은 장치의 형식과 장소에 따라서 다르나 일반적으로 150㎜Aq 정도이다. 대형 건물에서는 300㎜Aq, 100마력인 대형의 것도 사용된다. 송풍기를 나온 공기는 급기덕트를 통해 실내로 보내지는데, 중앙식 공기조화에 있어서는 대체로풍량이 상당히 많아지므로 덕트의 치수도 커진다. 덕트의 치수는 공기속도에 반비례하지만, 주택과 같은 소규모 건물에 설비하는 공조용 덕트에서는 덕트 내..
덕트의 설계순서 (1) 송풍량 결정 송풍량은 각실 이나 존(zone)에서 계산된 냉난방부하를 식에 대입시켜 계산한다. 또한편, 건축법규나 재실인원의 흡연량을 참고하여 도입외기량을 구하고, 법적제한등에 의해 배기량을 구한다. 또, 양자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배기 및 외기량을 결정한다. (2) 취출구 및 흡입구의 위치 결정 실의 공기분포가 균일하도록 취출구의 위치, 형식, 크기, 필요한 수량을 정한다. (3) 덕트경로 결정 공조기 및 송풍기의 위치와 덕트의 경로를 정한다. 덕트의 경로는 실의 용도, 사용시간, 부하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존별로 계통화시키고, 송풍저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한다. (4) 덕트의 치수결정 덕트의 치수는 표 1-1과 덕트의 치수 결정법에 의해 정한다. (5) 송풍기의 선정 덕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