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결로하자발생 사례 공유입니다.
이번 아파트 결로하자의 원인은 최상층, 옥탑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하자입니다.
단열재의 결손 등으로 냉교현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에 임해야 합니다.
결로하자의 원인 및 대책
사례1.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최상층 높이를 기준층과 동일하게 설계하여 최상층 단열재 설치시 커튼박스 등으로 결손 부위 발생
4. 대책 : 최상층은 단열재 두께를 고려하여 높이 및 층고를 조정하여 단열재 결손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공
사례2.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발코니 하부 천정 단열재가 짧아 냉교발생
4. 대책 : 냉교발생부위 단열재 연장


사례3.
1. 부위 : 옥탑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하부 슬라브 단열설계 누락되어 열교 발생
4. 대책 : 옥상 박공 PIT와 면하는 벽체 및 슬라브는 PIT내부에 외기가 통할 시 직접외기,
외기가 통하지 않으면 간접외기로 단열설계를 보강해야 함.


사례4.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발코니와 면하는 천정 상부 결로방지재 짧게 시공
4. 대책 : 단열방지재 연장시공
사례5.
1. 부위 : 옥탑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를 나누어 옥탑방으로 시공된 벽체 단열재 부실
4. 대책 : 옥상 박공 PIT와 면하는 벽체 및 슬라브는 PIT내부에 외기가 통할 시 직접외기,
외기가 통하지 않으면 간접외기로 단열설계 보강해야 함.
사례6.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옥탑방과 옥상 테라스 사이 냉교가 발생하여 마루 변색
4. 대책 : 습기에 강한 마루자재 선정 / 옥탑방 출입문 설치(고온고습 차단)
사례7.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를 나누어 옥탑방으로 시공된 벽체 단열재 부실
4. 대책 : 마그네슘보드 지양
사례8.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
3. 원인 : 최상층 단열재와 골조 사이 틈새에 결로 발생하여 겨울철 동결 후 해빙기에 누수 및 단열재 탈락 하자발생
4. 대책 : 타설부착을 원칙으로 하며 타설 후 부착 시 정밀 시공요구

사례9.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외벽에 면한 날개벽 냉교 발생
4. 대책 : 외벽에 면한 날개벽 단열재 시공(마그네슘보드 지양)

사례10.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천정 결로방지재(매립형) 폭 짧음(30mm)
4. 대책 : 결로방지재 폭 연장 시공
사례11.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시공
3. 원인 : 창호철물이 단열재에 노출되어 냉교매체로 이용됨
4. 대책 : 창호철물 등은 단열재에 감싸지도록 시공

결로발생으로 인한 하자 피해

'건설공사정보 > 시공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공사] 검측 체크리스트 #1 [슬리브설치공사] (0) | 2022.03.28 |
---|---|
[공동주택] 건축물 하자사례 #1 (0) | 2020.02.28 |
[기계설비] 기계설비공사의 자재 일반사항 (0) | 2020.02.21 |
[건축공사] 건축물의 결로방지 가이드라인 상세도(1) - 국토교통부 (0) | 2020.02.20 |
건설공사의 허용오차 기준 요약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