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사례] 아파트 결로발생 하자 사례 공유

반응형

아파트 결로하자발생 사례 공유입니다.

 

이번 아파트 결로하자의 원인은 최상층, 옥탑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하자입니다.

 

단열재의 결손 등으로 냉교현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에 임해야 합니다.

 

 결로하자의 원인 및 대책 

 

사례1.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최상층 높이를 기준층과 동일하게 설계하여 최상층 단열재 설치시 커튼박스 등으로 결손 부위 발생

4. 대책 : 최상층은 단열재 두께를 고려하여 높이 및 층고를 조정하여 단열재 결손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공

 

사례2.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발코니 하부 천정 단열재가 짧아 냉교발생

4. 대책 : 냉교발생부위 단열재 연장

etc-image-0
etc-image-1

사례3.

1. 부위 : 옥탑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하부 슬라브 단열설계 누락되어 열교 발생

4. 대책 : 옥상 박공 PIT와 면하는 벽체 및 슬라브는 PIT내부에 외기가 통할 시 직접외기,

           외기가 통하지 않으면 간접외기로 단열설계를 보강해야 함.

 

etc-image-2
etc-image-3

사례4.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발코니와 면하는 천정 상부 결로방지재 짧게 시공

4. 대책 : 단열방지재 연장시공

 

사례5.

1. 부위 : 옥탑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를 나누어 옥탑방으로 시공된 벽체 단열재 부실

4. 대책 : 옥상 박공 PIT와 면하는 벽체 및 슬라브는 PIT내부에 외기가 통할 시 직접외기,

           외기가 통하지 않으면 간접외기로 단열설계 보강해야 함.

 

사례6.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옥탑방과 옥상 테라스 사이 냉교가 발생하여 마루 변색

4. 대책 : 습기에 강한 마루자재 선정 / 옥탑방 출입문 설치(고온고습 차단)

 

사례7.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옥상 박공 PIT를 나누어 옥탑방으로 시공된 벽체 단열재 부실

4. 대책 : 마그네슘보드 지양

 

사례8.

1. 부위 : 최상층

2. 하자의 유형 : 시공

3. 원인 : 최상층 단열재와 골조 사이 틈새에 결로 발생하여 겨울철 동결 후 해빙기에 누수 및 단열재 탈락 하자발생

4. 대책 : 타설부착을 원칙으로 하며 타설 후 부착 시 정밀 시공요구

etc-image-4

사례9.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시공/설계

3. 원인 : 외벽에 면한 날개벽 냉교 발생

4. 대책 : 외벽에 면한 날개벽 단열재 시공(마그네슘보드 지양)

etc-image-5

사례10.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설계

3. 원인 : 천정 결로방지재(매립형) 폭 짧음(30mm)

4. 대책 : 결로방지재 폭 연장 시공

 

사례11.

1. 부위 : 공통

2. 하자의 유형 : 시공

3. 원인 : 창호철물이 단열재에 노출되어 냉교매체로 이용됨

4. 대책 : 창호철물 등은 단열재에 감싸지도록 시공

etc-image-6

 결로발생으로 인한 하자 피해 

etc-image-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