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건축물에서 저수조는 STS, SMC, PDF 등 조립식 물탱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일체형인 PE 물탱크를 사용하는 곳은 없겠죠?? 조립식 수조들의 용량 계산은 그리 어렵지 않지요. 보통 한칸에 1M로 계산하고 때로는 0.5M짜리 작은 판도 존재합니다. 정사각형이며, 높이가 조금 애매할 때 0.5M의 크기를 적용하곤 합니다. 소화 저수조의 용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적용된 소방설비를 알아야 합니다. 소화 용수를 필요로 하는 설비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옥내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외소화설비 이렇게 있는 것 같네요 그럼 각각의 설비들의 필요 수원을 계산하여 더해 주면 됩니다. 1.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 용량 계산 옥내소화전의 수원 = 기준개수 x 방수량 x 방출시간 방수량은 130 L..
요즘 허가를 진행하는 건축물에 소방 동의 시 소방시설 등 설치 강화적용 사항들이 늘어나고 있네요... ○ 필로티 주차장 내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설치 ‣ 설치대상 : 스프링클러설비 적용대상 건축물 ‣ 설치방법 : 반자 유무에 따라 상·하향식 또는 상향식 조기반응형헤드 설치(헤드 수평거리 2.1m 이하) ⇒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방식) 허용 불가 ⇒ 필로티 주차장내 중앙출입구 내‧외부 상부에는 헤드 추가설치(기존 헤드와 별개 설치) ○ 화재발생 시 「수직연소 확대 방지용」 윈도우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 설치대상 : 스프링클러설비 적용대상 건축물 ‣ 설치방법 : 외기 창문으로부터 0.6M 이내의 위치에 헤드간 1.8m간격으로 설치(기존 헤드와 별개 설치) ⇒ 스프링클러 적용대상 전 층에 적용 ○ 필..
보와의 거리 보의 크기에 따라 헤드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방재청의 공문 그리고 화재안전기준... 그리고 화재안전기준의 개정에 따른 완화 등 모든 방법이 허용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시공이 용이하고 간편한 방법들까지 설명해보겠습니다. 보의 높이가 550이하일 경우 헤드와 보의 거리에 따라 위와같이 헤드 높이가 결정됩니다. 천장면에서 보의 하단까지 길이가 550을 초과하고 보의 하단 측면끝부분으로 부터 헤드까지 거리리의 1/2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헤드의 높이를 550이하로 할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보와의 거리를 따지고 높이를 따지고... 어떤 헤드는 높고 어떤헤드는 낮고 정말 머리가 아플때가 많습니다. 물론 검측도 상당히 힘들죠 그래서 헤드의 높이를 보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모두 30cm 이내로 맞출 수 ..
전기저장시설 등 기존 특정소방대상물 중 소방시설 설치 의무가 면제되었던 구간의 소방시설 설치 의무화에 대한 입법 예고입니다. 사전에 미리 알고 준비하면 시공 진행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원가절감보다 중요한 것이 건물의 실사용자 즉 우리 국민의 안전이라 생각하고 이번 입법예고에 따른 반발과 현장특성상의 문제접이 많이 발생할 것이라 생각되어지지만 특정소방대상물인 건축물에서 소방시설이 제외되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소방청공고 제2020-19호 □ 입법예고 기간 - 2020.01.21. ~ 2019.03.2. □ 개정이유 - 소방시설 설치의무가 없는 전기저장시설*을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위험특성이 ..
건출물 소방설비공사 PIT공간의 소방설비 적용 기준 소방설비 설계도서를 보면 어느 공간엔 스프링클러헤드가 설계되어있고 또, 어느 공간엔 설계되어있지 않고... 어떤 소방감리자는 무조건 피트공간(PD,AV,PS,EPS,TPS 등)의 공간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라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소방공사는 관련 법규 근거하에 설치하는 공사이며 소방책임감리라고 해서 아무런 근거없이 무조건적으로 이거해라 마라하는 것은 원칙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아래의 표로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는데요 피트층의 경우 스프링클러설비를 적용해야합니다. 다만, 완전구획된 구조일 경우에 제외되는 것입니다. 완전 구획이란 “소방시설의설치유지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별표2-비고1 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한 범위내에서 0,5(W)*1m(H)이하..
LH표준 기계설비 상세도집에서 발췌한 소방입상배관 상세도입니다. 업무 참고용입니다^^; 상세도는 옥내소화입상배관 / 옥내소화 + 스프링클러 겸용 입상관 / 기준층 및 최상층 상세도 이렇게 3가지 페이지로 구분되어있습니다. 전체 상세도집이 용량이 커서 제가 스터디하는 부분에 한하여 블로그에 기록하려합니다. 이렇게라도 머리속에 꼭 담아 두기위해서^^; 2019년도 자료기때문에 소방법규는 수시로 바뀌고 계속해서 공부를 해야하므로... 이 자료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옥내소화배관 입상관의 상세도입니다. 층간방화를 위한 내화충전구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잘 확인하시어 시공하시면 됩니다. 내진설비 많이 어렵진 않더라구요...복잡한것같으면서도 알고보면 간단합니다. 스프링클러 + 옥ㄴ소화전 ..